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HOME
LOGIN
PORTAL
발전기금
LANGUAGE
ENGLISH
CHINESE
통합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대학정보
대학정보
대학소개
이념
역사
연혁
교육목표/인재상
개교 50주년
아주비전 5.0
홍보영상
대학상징
상징
UI
50주년 엠블럼/슬로건
전용서체
캐릭터
UI 다운로드
대학현황
대학기구
규정
통계
정보공개
총장실
인사말
약력
연설문
총장레터
동정
역대총장
캠퍼스 안내
캠퍼스맵
오시는길
교내전화번호
학교법인
이사장
연혁/조직
이사회
입학
입학
대학
학부 입학(입학처)↗
외국인 입학↗
대학원
대학원
진행중인 모집요강
교육
교육
대학
대학
대학원
대학원
부설교육
부설교육
열린교육
Open Source Education↗
AUT
AUT Introduction
AUT Activities
연구/산학
연구/산학
연구현황
주요 연구성과
연구자검색↗
연구뉴스레터
관련사이트
산학협력단/연구정보처↗
LINC3.0 사업단↗
창업지원단↗
4단계 BK21사업
혁신융합단↗
연구기관↗
연구윤리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세미나/포럼
학사지원
학사지원
학사일정
등록/장학
등록금
장학생 선발
교내장학
교외장학
학자금대출
아주동행 긴급장학
학사정보
교육과정
수강신청
수업
학적
비교과프로그램
학사자료실
다시듣고 싶은 명강의
함께하고 싶은 나의 교수님
학사Q&A
요람/규정집
요람
규정집
대학생활
대학생활
학생지원
종합지원센터
커리어
장애학생지원실↗
보건진료소
학생상담
성평등상담소↗
인권상담소↗
병무
시설이용
생활관
교내식당
체육시설
편의시설
학교버스
중앙도서관↗
무선인터넷 안내
증명서 발급
증명서신청/발급 안내
인터넷우편발송 신청/조회
인터넷증명서 즉시발급
교육비납입증명서 출력
학생문화
학생기구
학보사↗
영자신문사↗
교육방송국↗
스마트캠퍼스
소개
학생증
아주광장
아주광장
공지사항
일반공지
장학공지
캘린더
미디어센터
Ajou News
학생 활동·수상 소식
교내소식
아주인칼럼
아주인사이트/웹진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자료실
학교에 바라는 글
아주교차로
개인정보 제3자 제공
청탁금지법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학교 대응 안내
공지사항 및 안내사항
교내 확진자 발생 안내
검색 열기
통합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모바일 메뉴 열기
HOME
LOGIN
PORTAL
발전기금
대학정보
대학소개
이념
역사
연혁
교육목표/인재상
개교 50주년
아주비전 5.0
홍보영상
대학상징
상징
UI
50주년 엠블럼/슬로건
전용서체
캐릭터
UI 다운로드
대학현황
대학기구
규정
통계
정보공개
총장실
인사말
약력
연설문
총장레터
동정
역대총장
캠퍼스 안내
캠퍼스맵
오시는길
교내전화번호
학교법인
이사장
연혁/조직
이사회
입학
대학
학부 입학(입학처)↗
외국인 입학↗
대학원
대학원
진행중인 모집요강
교육
대학
대학
대학원
대학원
부설교육
부설교육
열린교육
Open Source Education↗
AUT
AUT Introduction
AUT Activities
연구/산학
연구현황
주요 연구성과
연구자검색↗
연구뉴스레터
관련사이트
산학협력단/연구정보처↗
LINC3.0 사업단↗
창업지원단↗
4단계 BK21사업
혁신융합단↗
연구기관↗
연구윤리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세미나/포럼
학사지원
학사일정
등록/장학
등록금
장학생 선발
교내장학
교외장학
학자금대출
아주동행 긴급장학
학사정보
교육과정
수강신청
수업
학적
비교과프로그램
학사자료실
다시듣고 싶은 명강의
함께하고 싶은 나의 교수님
학사Q&A
요람/규정집
요람
규정집
대학생활
학생지원
종합지원센터
커리어
장애학생지원실↗
보건진료소
학생상담
성평등상담소↗
인권상담소↗
병무
시설이용
생활관
교내식당
체육시설
편의시설
학교버스
중앙도서관↗
무선인터넷 안내
증명서 발급
증명서신청/발급 안내
인터넷우편발송 신청/조회
인터넷증명서 즉시발급
교육비납입증명서 출력
학생문화
학생기구
학보사↗
영자신문사↗
교육방송국↗
스마트캠퍼스
소개
학생증
아주광장
공지사항
일반공지
장학공지
캘린더
미디어센터
Ajou News
학생 활동·수상 소식
교내소식
아주인칼럼
아주인사이트/웹진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자료실
학교에 바라는 글
아주교차로
개인정보 제3자 제공
청탁금지법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학교 대응 안내
공지사항 및 안내사항
교내 확진자 발생 안내
모바일 메뉴 닫기
KOREAN
ENGLISH
CHINESE
아주광장
HOME
아주광장
대학정보
입학
교육
연구/산학
학사지원
대학생활
아주광장
미디어센터
공지사항
캘린더
미디어센터
커뮤니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학교 대응 안내
아주인칼럼
Ajou News
학생 활동·수상 소식
교내소식
아주인칼럼
아주인사이트/웹진
아주인칼럼
Total
1959건
,
148
/
392
게시글 검색
검색분류선택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검색
1224
[칼럼] 조롱을 피하는 방법… 적극적 대응하되 적대적 대처 말자
위치 확인
[주철환,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비 ‘깡’ ‘과거에 머무르지 않기, 자아도취 금지’ 이 정도 조언이라면 수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얼굴도 이름표도 가린 사람들이 무리 지어 조언 대신 조롱을 쏟아낸다면 과연 참을 수 있을까. ‘내가 뭘 잘못했지?’ 두렵기도 하고 화도 날 것 같다. 음악동네에서도 이런 일이 가끔 벌어진다. 모욕의 상처엔 백신이 따로 없으니 심한 경우 병원보다 법원으로 가는 경우도 생긴다. ‘KBS가요대상’에서 대상(2004), 가장 영향력 있는 해외아티스트상(2014)까지 받은 가수 비(정지훈)는 한국 나이로 서른아홉이다. 사생활에 문제가 없는데 갑자기 온라인에서 비웃고 놀리는 소리가 쏟아졌다. ‘15년을 뛰어/ 모두가 인정해 내 몸의 가치/ 허나 자만하지 않지/ 매 순간 열심히 첫 무대와 같이/ 타고난 이 멋이 어디가’(비 ‘깡’ 중). 가사가 시대착오적이라는 비난까진 감수해도 춤동작이 과하다는 지적은 납득하기 어려웠을 성싶다. 백댄서로 시작해 최고의 댄스가수로 자리매김했던 그 아닌가. ‘그래 그런 말들은 절대 듣기 싫어/ 가슴이 너무 아파 들을 수가 없어’(비 ‘안녕이란 말 대신’ 중). 억울했겠지만 비는 노랫말대로 대꾸하지 않았다. 적극적으로 대응하되 적대적으로 대처하지 않았다. 화가 나는 건 불이 나는 것이고 화를 내는 건 불을 내는 것이다. 불이 나면 끄는 게 최선이듯 화가 나면 화를 가라앉히는 게 고수다. 그는 타고난 낙천성으로 승부했고, 마침내 음악동네의 명랑지수를 한 단계 높였다. 이야말로 슬기로운 가수생활의 성공사례 아닐까. 전략은 적중했다. 싸움터가 아니라 놀이터로 인식하니 댓글마당이 화풀이·한풀이가 아닌 공연의 뒤풀이 장처럼 변했다. 모습을 드러내지 않은 채 욕을 하는 자들의 심리는 욕을 세 번 반복해서 발음하면 답이 나온다. 욕을, 욕을, 욕을, 요구를, 요구를, 요구를. 결국 그들은 원하는 바를 숨어서 얘기하는 것이다. (하략)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20061201031912000001
1223
작성자
홍보***
작성일
2020-06-15
4417
동영상
동영상
주철환교수.gif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1222
[칼럼] 흔들리는 세계질서와 지도자의 자질
위치 확인
[김흥규, 중국정책연구소장] 천하질서가 크게 흔들리고 있다. 한국과 같이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고 외향형의 국가는 항상 국제정세의 변화에 민감하고 취약하다. 위기가 상시적인 국가이다. 그러나 이번 미·중 ‘전략경쟁’으로 촉발된 위기는 보다 구조적이어서, 장기적이고 영향력의 규모도 남달라 국가의 존망을 흔들고 있다. 오판하거나 실수할 여력이 없다. 총선이 끝나고 대선이 앞으로 다가왔다. 차기 대권을 꿈꾸는 분들의 움직임도 분주해지고 있다. 엄중하게 다가오는 외교·안보적 폭풍을 예견하면서, 현 정부를 비롯한 정치도자들은 미·중 전략경쟁이 야기한 다음과 같은 도전에 대해 답을 제시해야 한다. (하략) http://www.segye.com/newsView/20200611516310
1221
작성자
홍보***
작성일
2020-06-12
3950
동영상
동영상
김흥규.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1220
[칼럼] 바다소와 해달
위치 확인
[김홍표 교수, 약학대학] 약 1만1000년 전 농사를 짓기 시작한 이래 인구는 약 7800배 늘었다. 약 100만명이던 당시의 인구가 현재 거의 78억명에 이르게 된 것이다. 세계 인구를 집계하는 영국의 인터넷 사이트를 방문하면 지금 이 순간에도 인류는 1초에 서너 명씩 늘고 있다. 인류 역사에서 농경이 시작된 사건을 일컫는 신석기 혁명은 사실 석기와는 깊은 관련이 없다. 오히려 식물을 재배하고 동물을 사육하게 되면서 한곳에 머물러 살게 된 생활 양식의 변화를 의미한다는 편이 사실에 더 가까울 것이다. 먹거리를 찾아 수렵과 채집을 하는 대신 인간 집단의 울타리 안에 동물과 식물 일부가 편입된 것이다. 인구가 늘어나는 만큼 인간화된 생명체의 규모도 커졌다. 2018년 이스라엘 와이즈만연구소의 론 밀로는 인간과 가축의 총무게가 야생동물의 30배가 넘는다는 연구 결과를 미과학원회보에 발표했다. 무게로는 돼지와 소, 숫자로는 닭이 단연 모든 것을 압도한다. (하략)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2006110300125
1219
작성자
홍보***
작성일
2020-06-11
3970
동영상
동영상
김홍표교수.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1218
[칼럼] 유효기간 등 제약있는 쿠폰이 현금보다 소비촉진 큰 까닭은
위치 확인
[김경일, 심리학과 교수] 얼마 전 한 라디오 방송에서 긴급재난지원금 추가 지급, 소비 쿠폰 발행과 관련해 기자 한 분이 매우 중요한 이야기 하나를 꺼냈다. "소비를 안 하려고 했던 사람들로 하여금 소비할 결정을 하게 만드는 건 여전히 어렵지 않을까 싶다. 하지만 기왕에 소비를 하려고 했던 사람들이 소비를 더 적극적으로 하게 만드는 효과는 있을 것이다." 인간의 판단과 의사결정을 연구하는 심리학자로서 굉장히 중요한 지적이 아닐 수 없다. 왜냐하면 소비든 선택이든 시작을 결정하는 것과 시작된 것을 유지하거나 촉진시키는 것은 심리학적으로 상당히 다른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심지어는 정반대 양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다양한 심리학 서적에 자주 언급돼 잘 알려진 요구르트 실험의 주인공인 후항 쯔치(Huang Szu-chi) 스탠퍼드대 교수의 연구를 통해 그 이유를 알아보자. 연구진은 사람들에게 요구르트 구매 기록 카드를 줬다. 이 카드에 판매 중인 요구르트 여섯 종의 구입 도장을 다 받으면 사은품을 받을 수 있다. 그런데 여기에는 다시 두 가지 종류 카드가 있다. A카드는 이른바 자율적인 구매 기록 카드다. 이 카드에는 순서와 상관없이 여섯 종류에 해당하는 요구르트 구매 확인 도장만 다 받으면 사은품을 받을 수 있다. B카드는 비자율적 구매 기록 카드다. 이 카드에는 사전에 정해진 순서대로 요구르트를 구입해 도장을 받아야만 상품을 받을 수 있다. 당연히 사람들은 A(자율적)카드를 B카드(비자율적)보다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각 30%와 10%가 카드를 매장에 등록(activation)한 것이다. 어떤 일을 시작(즉 카드 등록)할지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는 선택의 여지나 유연함이 클수록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난다는 결과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등록한 카드를 실제로 완성(즉 6개 구매를 완료)하는 사람은 오히려 융통성 없는 비자발적 카드를 받은 그룹에서 더 많이 나왔다. 수와 비율 모두에서 말이다. 즉, 시작할지 말지를 결정할 때는 자율적인 것이 좋지만 일단 시작하고 난 뒤에 그것을 마무리해야 하는 과정에서는 그 다양함이 오히려 방해가 된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났다. (하략)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20/06/597154/
1217
작성자
홍보***
작성일
2020-06-11
3978
동영상
동영상
김경일교수.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1216
[칼럼] 동양의 무한, 서양의 원소
위치 확인
[박형주 총장] 아주 많은 걸 표현할 때 ‘셀 수 없이 많다’라고 한다. 하지만 수학의 세계에서는, 유한한 건 다 셀 수 있고, 무한도 ‘셀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무한의 개념은 신기루 같은 것이어서, 인류 역사에서 많은 사람을 혼란에 빠트렸다. 영원이라거나 무한한 윤회 같은, 종교에서나 나옴 직한 무한의 개념이 수학과 무슨 관련이 있을까. 무한의 개념에 처음 다다른 것은 인도 문명이었다. 기원전 10세기의 인도인들은, 우주의 원자 수보다 더 큰 수를 표현하는 숫자를 발명했고, 끝없이 계속되는 수를 이해하고 있었다. 하나, 둘을 세면서 나오는 수가 아니라 우주의 광활함을 수로 표현하려는 사색의 결과물이었다. 기원전 3세기의 인도는 셀 수 있는 무한과 셀 수 없는 무한을 구별하는 수준에 다다랐다. 살면서 경험할 수 없는 수들이 튀어나온 것인데, 무한의 개념은 힌두교와 불교 우주관의 핵심이었다. (하략)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2006090300015
1215
작성자
홍보***
작성일
2020-06-09
4137
동영상
동영상
박형주 총장.gif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첫 페이지로 이동하기
이전 페이지로 이동하기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기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