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HOME
LOGIN
PORTAL
발전기금
LANGUAGE
ENGLISH
CHINESE
통합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대학정보
대학정보
대학소개
이념
역사
연혁
교육목표/인재상
개교 50주년
아주비전 5.0
홍보영상
대학상징
상징
UI
50주년 엠블럼/슬로건
전용서체
캐릭터
UI 다운로드
대학현황
대학기구
규정
통계
정보공개
총장실
인사말
약력
연설문
총장레터
동정
역대총장
캠퍼스 안내
캠퍼스맵
오시는길
교내전화번호
학교법인
이사장
연혁/조직
이사회
입학
입학
대학
학부 입학(입학처)↗
외국인 입학↗
대학원
대학원
진행중인 모집요강
교육
교육
대학
대학
대학원
대학원
부설교육
부설교육
열린교육
Open Source Education↗
AUT
AUT Introduction
AUT Activities
연구/산학
연구/산학
연구현황
주요 연구성과
연구자검색↗
연구뉴스레터
관련사이트
산학협력단/연구정보처↗
LINC3.0 사업단↗
창업지원단↗
4단계 BK21사업
혁신융합단↗
연구기관↗
연구윤리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세미나/포럼
학사지원
학사지원
학사일정
등록/장학
등록금
장학생 선발
교내장학
교외장학
학자금대출
아주동행 긴급장학
학사정보
교육과정
수강신청
수업
학적
비교과프로그램
학사자료실
다시듣고 싶은 명강의
함께하고 싶은 나의 교수님
학사Q&A
요람/규정집
요람
규정집
대학생활
대학생활
학생지원
종합지원센터
커리어
장애학생지원실↗
보건진료소
학생상담
성평등상담소↗
인권상담소↗
병무
시설이용
생활관
교내식당
체육시설
편의시설
학교버스
중앙도서관↗
무선인터넷 안내
증명서 발급
증명서신청/발급 안내
인터넷우편발송 신청/조회
인터넷증명서 즉시발급
교육비납입증명서 출력
학생문화
학생기구
학보사↗
영자신문사↗
교육방송국↗
스마트캠퍼스
소개
학생증
아주광장
아주광장
공지사항
일반공지
장학공지
캘린더
미디어센터
Ajou News
학생 활동·수상 소식
교내소식
아주인칼럼
아주인사이트/웹진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자료실
학교에 바라는 글
아주교차로
개인정보 제3자 제공
청탁금지법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학교 대응 안내
공지사항 및 안내사항
교내 확진자 발생 안내
검색 열기
통합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모바일 메뉴 열기
HOME
LOGIN
PORTAL
발전기금
대학정보
대학소개
이념
역사
연혁
교육목표/인재상
개교 50주년
아주비전 5.0
홍보영상
대학상징
상징
UI
50주년 엠블럼/슬로건
전용서체
캐릭터
UI 다운로드
대학현황
대학기구
규정
통계
정보공개
총장실
인사말
약력
연설문
총장레터
동정
역대총장
캠퍼스 안내
캠퍼스맵
오시는길
교내전화번호
학교법인
이사장
연혁/조직
이사회
입학
대학
학부 입학(입학처)↗
외국인 입학↗
대학원
대학원
진행중인 모집요강
교육
대학
대학
대학원
대학원
부설교육
부설교육
열린교육
Open Source Education↗
AUT
AUT Introduction
AUT Activities
연구/산학
연구현황
주요 연구성과
연구자검색↗
연구뉴스레터
관련사이트
산학협력단/연구정보처↗
LINC3.0 사업단↗
창업지원단↗
4단계 BK21사업
혁신융합단↗
연구기관↗
연구윤리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세미나/포럼
학사지원
학사일정
등록/장학
등록금
장학생 선발
교내장학
교외장학
학자금대출
아주동행 긴급장학
학사정보
교육과정
수강신청
수업
학적
비교과프로그램
학사자료실
다시듣고 싶은 명강의
함께하고 싶은 나의 교수님
학사Q&A
요람/규정집
요람
규정집
대학생활
학생지원
종합지원센터
커리어
장애학생지원실↗
보건진료소
학생상담
성평등상담소↗
인권상담소↗
병무
시설이용
생활관
교내식당
체육시설
편의시설
학교버스
중앙도서관↗
무선인터넷 안내
증명서 발급
증명서신청/발급 안내
인터넷우편발송 신청/조회
인터넷증명서 즉시발급
교육비납입증명서 출력
학생문화
학생기구
학보사↗
영자신문사↗
교육방송국↗
스마트캠퍼스
소개
학생증
아주광장
공지사항
일반공지
장학공지
캘린더
미디어센터
Ajou News
학생 활동·수상 소식
교내소식
아주인칼럼
아주인사이트/웹진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자료실
학교에 바라는 글
아주교차로
개인정보 제3자 제공
청탁금지법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학교 대응 안내
공지사항 및 안내사항
교내 확진자 발생 안내
모바일 메뉴 닫기
KOREAN
ENGLISH
CHINESE
아주광장
HOME
아주광장
대학정보
입학
교육
연구/산학
학사지원
대학생활
아주광장
미디어센터
공지사항
캘린더
미디어센터
커뮤니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학교 대응 안내
아주인칼럼
Ajou News
학생 활동·수상 소식
교내소식
아주인칼럼
아주인사이트/웹진
아주인칼럼
Total
1959건
,
134
/
392
게시글 검색
검색분류선택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검색
1294
[칼럼] 서점으로 떠나자
위치 확인
[노명우, 사회학과 교수] 김기림의 시집 <태양의 풍속>은 1939년 출간되었다. 꽤 오래전에 쓰인 시이지만 ‘세계는/ 나의 학교/ 여행이라는 과정에서/ 나는 수없는 신기로운 일을 배우는/ 유쾌한 소학생’이라는 구절은 여전히 나의 마음을 사로잡는다. 여행을 준비하며 짐을 꾸릴 때면 늘 이 시구가 떠오른다. 여행을 떠난 ‘유쾌한 소학생’은 여행지에 도착하면 어디로 갈까? 사람마다 가고 싶은 곳이 다를 것이다. 잘 알려진 표현 ‘무엇을 읽는지가 당신을 말해준다’(You are What you read)를 살짝 ‘여행의 목적지가 당신을 말해준다’(You are Where you go)로 바꾸어본다. 그리고 허균을 떠올려 본다. 그는 1616년 북경에 갔고 그곳에서 이런 시를 썼다. “고향집 왜란 겪고 고서를 다 잃어, 세상에서 보지 못한 책 얻고 싶을 뿐, 여기 와 산 책이 몇 만 권이니, 등불 아래서 글 읽을 만하네.” 허균은 그해에 1만5000냥을 들여 책 4000권을 구입했다고 알려졌다. 그런 허균이니 “가진 것 죄다 털어 책 산다고 비웃지 마오”라고 시에 쓸 자격이 충분하다. 1765년 홍대용도 북경을 향해 떠났다. 북경의 유명한 저잣거리인 유리창(琉璃廠)에서 홍대용은 서책 포자(鋪子), 즉 서점부터 찾아갔다. 홍대용이 매료당한 유리창의 서점은 이런 모습이었다. “삼면에 층층이 탁자를 만들었는데 높이는 두세 길이고, 칸칸이 서책을 가득히 쌓아 책갑마다 종이로 쪽지를 붙여 이름을 표하였다. 대개 경서와 사기와 제자백가의 책이 없는 것이 없고, 그중 듣지 못하던 이름이 반이 넘었다.” (하략)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2009300300075&code=990100
1293
작성자
홍보***
작성일
2020-10-05
4563
동영상
동영상
노명우 교수.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1292
[칼럼] 왠지 서로 소통이 잘 안될 때
위치 확인
[조영호, 경영학과 명예교수] 김 부장은 부서원이 10명이다. 다른 부서원과는 별문제가 없는데 이상하게도 이 대리하고 대화를 하다 보면 잘나가다가도 결말이 안 좋다. 그래서 이 대리하고 이야기할라 치면 긴장이 된다. 최 선생님은 학교에서 아이들과 생활할 때는 별문제가 없다. 그런데 집에 와서 고등학생 딸아이와 이야기할 때는 문제가 많다. 이번엔 잘해보자 하지만 결국 말싸움으로 끝난다. “그래, 너 알아서 하라고~” 마무리 말은 대체로 이렇게 된다. 어떤 사람들하고는 신경을 안 써도 부드럽게 이야기가 되는가 하면, 어떤 사람과는 그렇지 않다. 어떤 사람은 무슨 이야기를 해도 그의 말에 신뢰가 가고 듣는 사람의 마음이 편한데, 어떤 사람은 반대다. 그의 이야기 내용을 곱씹어 보면 특별히 잘못된 것이 없는데 이상하게 기분이 안 좋고, 트집을 잡고 싶고 그렇다. 왜일까? 이상하게 말이 잘 안 통한다 싶을 때는 비언어적인 요소를 점검해 보아야 한다. 미국 UCLA 교수인 앨버트 메라비언(Albert Mehrabian)은 60년대 말 의사소통에 대한 실험을 했는데 대인간 소통에서 중요한 것은 말의 내용보다 말투나, 말할 때의 몸동작이 훨씬 중요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래서 소위 메라비언 법칙이 나왔다. 말의 내용이 7%, 음성적 요소가 38%, 신체적 요소(바디랭귀지)가 55% 정도로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그러니까 사람 간 의사소통의 93%는 비언어적 요소가 좌우한다는 이야기이다. (하략) http://www.ihsnews.com/36989#
1291
작성자
홍보***
작성일
2020-09-29
6903
동영상
동영상
조영호교수.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1290
[칼럼] 격리 즐기기
위치 확인
[박형주 총장] 코로나19 탓에 자가격리하는 사람들을 주위에서 여럿 보았다. 자녀 결혼이나 대학의 중요한 국제협력 프로젝트 때문에 불가피하게 출국했던 경우다. 일상이 무너졌다는 사람도, 새로운 충전의 시간이었다는 사람도 있다. 격리는 하던 일을 멈추는 비생산적인 시간인 것일까. 요즘 웬만한 분야는 대단히 전문화되어서, 내부의 세부 분야에 따라 전문성이 다르다. 그래서 특정 진료 분야를 오랫동안 다룬 의사도 자신의 세부 분야를 조금 벗어난 질병엔 조언하기를 꺼린다. 수학에서도 대수학을 전공한 수학자가 요즘 기하학에서 이슈가 되는 논문을 읽는 것은 만만치 않다. 그러다 보니 잡다하게 여러 분야를 건드리기보다는 한 우물을 파야 한다는 말을 당연하게 받아들인다. 중세 르네상스를 풍미했던 보편 지식인의 꿈은 이제는 신기루 같다. 우원쥔 박사는 이런 통념에 한 번 더 생각할 거리를 제공하는 사람이다. 1919년에 중국 상하이에서 태어나서 상하이교통대를 졸업한 후에 28세 되던 해에 프랑스로 유학을 갔다. 30세에 스트라스부르 대학에서 수학박사 학위를 받고는 르네 톰 같은 당대의 수학자들과 위상수학 분야의 연구를 하다 32세에 귀국해서 베이징대 교수가 됐다. 순수수학 분야의 전형적인 엘리트 학자의 길을 가던 그의 인생은 47세 되던 해에 극적으로 반전된다. 문화혁명이 시작된 것이다. (하략)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2009290300015&code=990100
1289
작성자
홍보***
작성일
2020-09-29
6495
동영상
동영상
박형주 총장.gif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1288
[칼럼] ‘삼시 세끼’보다 ‘함께 한 끼’를 하자!
위치 확인
[박만규, 불문과 교수] 요즘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소위 ‘방콕족’이 되었다. 이젠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인 이 말은 방에 콕 처박혀 있는 사람들이라는 것을 뜻하는 약어이다. 그런데 이보다는 약간 더 활동 범위가 넓은 사람은 ‘동남아족’이다. 이는 동네에 남아 있는 사람들이라는 뜻이다. 방콕이건 동남아건 ‘삼시 세끼’를 집에서 먹는 사람들이 많은 현실이다. 그런데 왜 ‘삼시 세끼’라는 말이 생겼을까? 이는 하루에 세 끼를 다 챙겨 먹는다는 뜻으로, 본래 우리 민족이 두 끼를 먹었기 때문에 이에 대비하여 나타난 말로 추정된다. 기록에 보면 과거에 한국인은 아침과 저녁, 두 끼를 먹었다. 1123년 고려 중기 송나라 사신 서긍이 쓴 『고려도경』에 보면 고려 사람들은 하루에 두 끼를 먹는다고 기록되어 있다. 18세기 후반 조선 후기에 이덕무가 쓴 문집인 『청장관전서』에도 우리 선조들은 두 끼를 먹었던 것으로 나와 있다. 물론 여러 끼를 먹었던 것으로 추정할 수도 있게 하는 몇몇 문헌들을 볼 수도 있으나 이들은 간식의 개념들로서 오늘날의 주식의 개념이 아니므로 논외가 된다. 사실 우리말에 식사를 가리키는 단어로 고유어로 된 말은 ‘아침’과 ‘저녁’밖에 없다. ‘점심(點心)’이라는 말은 한자어이다. 이는 점심이 아침과 저녁 식사의 두 끼 체계 이후에 도입된 것임을 보여주는 증거이다. 그리고 그나마도 처음에는 정식의 식사가 아니었다. 선불교(禪佛敎)에서 ‘마음에 점을 찍는’ 혹은 ‘마음을 점검하는’ 수준으로 먹는 ‘간식’을 가리키는 말이다. 이 ‘점심(點心)’을 북경어에서는 ‘디엔신(diǎn-xin)’이라고 하지만, 중국 남부의 광동어에서는 ‘딤섬(dim-sum)’이라 하는데, 홍콩이나 대만에 가면 흔히 먹을 수 있는, 만두 같이 생긴 간식이다. 지금은 그저 아무 때나 먹을 수 있지만, 원래는 주로 점심경에 먹었다. (하략) http://ccej.or.kr/64164
1287
작성자
홍보***
작성일
2020-09-28
7140
동영상
동영상
박만규 교수.gif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1286
[칼럼] 업무를 얼마나 잘 하는지는 본인보다 동료 평가가 정확
위치 확인
[김경일, 심리학과 교수] 수많은 사람이 궁금해 하는 바다. 다른 사람들은 나를 어떻게 볼까? 이는 조직 최상층에 있는 리더에서부터 수많은 중간 관리자, 더 나아가 기초를 이루고 있는 구성원들까지 예외가 없다. 그런데 이 질문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하자면 어떤 순간이나 상황에서 내가 날 봤을 때와 타인이 나를 봤을 때의 차이를 말하는 것이다. 이 차이를 알 수 있다면 내가 하는 말과 행동에 있어서 얼마나 처신에 도움이 되고 오해를 줄이는 것도 쉬워지겠는가는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잘 아실 것이다. 최근에 이와 관련해 굉장히 재치 있는 연구 한 편이 발표됐다. 많은 심리학자에게 회자되고 있고 미국심리학회(APA)에서 발행하는 잡지인 오늘의 심리학(Psychology Today)에도 소개됐다. 캘리포니아대 데이비스캠퍼스(UC-Davis) 심리학자 제시 선 박사와 사이민 바지르 교수 등 연구진은 무려 248명의 실험 참가자에게 `EAR(Electronically Activated Recorder)`라는 특수한 녹음기를 달아 참가자들의 대화를 15일간 녹음했다. 이 장비는 실험 참가자들의 일상생활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무작위적으로 짧은 대화를 하루에 몇 번씩 녹음하는 장치다. 이렇게 녹음된 대화는 두 사람에게 평가된다. 한 사람은 녹음된 내용의 당사자이고 다른 한 사람은 익명의 평가자, 즉 제3자다. 두 사람은 각각 어떤 차원에 대해 평가했을까. 심리학에서 사용되는 성격 검사 중 많이 알려져 있는 5요인(빅5)에 대해 판단했다. 이 다섯 개 요인은 개방성, 성실성, 외향성, 우호성, 그리고 신경증적 경향성이며 사람 특징을 가장 잘, 그리고 포괄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진은 각 측면에 대한 두 사람의 판단 차이를 분석했다. (하략)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20/09/985461/
1285
작성자
홍보***
작성일
2020-09-24
4903
동영상
동영상
김경일교수.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첫 페이지로 이동하기
이전 페이지로 이동하기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기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하기